top of page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제47대 대통령 취임 [육하원칙, 해석, 그리고 정보복지]

2025.1.23.목 | 유명순 선임기자



육하원칙

누가: 도널드 트럼프

언제: 2025년 1월 20일 월일(현지시각)

어디서: 미국 워싱턴디시(D.C.) 연방의회 의사당 중앙홀(로툰다홀)

무엇을: 미국 제47대 대통령 취임 어떻게: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미국 우선주의 구호를 내세우며

왜(해석):

극진보

진보

진보ㆍ보수 공통

보수

극보수

중국ㆍ러시아 측과 안보ㆍ경제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트럼프발 불안정성을 극복해야

이제 막 집권한 트럼프의 눈에 12ㆍ3 내란사태 이후 혼란이 이어지고 있는 한국은 팔을 조금만 비틀면 쉽게 돈을 토해내는 ‘손쉬운 먹잇감’으로 보일 수밖에 없기에, 지금부터라도 우리 ‘핵심 국익’이 달린 문제에선, 여ㆍ야ㆍ정이 하나가 돼 강력하고 철저한 대비를 해야

지금 트럼프의 공화당은 상ㆍ하원을 모두 장악했고 대법원도 보수 우위이기에, 임기 초 세계 정치ㆍ경제ㆍ안보 지형을 뒤흔들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8년 전보다 더 거리낌 없이 밀어붙일 것

4년 전 “어떤 식으로든 돌아오겠다”는 말을 남긴 채 워싱턴을 떠났던 트럼프 대통령이 화려하게 귀환한 것

한ㆍ미 군사동맹이 지속되기만 하면 되는 것이기에, 트럼프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률 상승과 대미 무역수지 악화 등, 미국이 이익을 취해도 전혀 문제되지 않아


트럼프 2기 정부하 북ㆍ미 직접 대화는 북한 비핵화의 마지막 기회일지도 몰라

지난해 10월 합의된 2026~2030년치 방위비 분담금에 대한 증액 요구를 시작으로. 현재 2만8500명 규모인 주한미군의 감축 혹은 ‘대중 견제’로의 성격 조정과. 북핵 용인 방식을 골자로 한 북-미 타협 등의 움직임이 있을 수 있어

미국발 국제 안보ㆍ통상 환경의 급변 상황에서, 일본ㆍ유럽연합(EU) 등과의 연대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중국이 트럼프의 미국보다 좀 더 강한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견지하기에, 정부는 중국과 더 깊은 전략적 소통을 할 필요가 있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수출 둔화와 내수 침체 등으로 1%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트럼프 공언대로 세계에 10~20%의 보편 관세 멕시코ㆍ캐나다에 25% 관세 중국에 최대 60%의 관세를 매기면 국제 무역이 크게 위축되면서 한국은 복합 위기를 맞을 수 있어

미ㆍ중 패권 경쟁 속에서 한ㆍ일이 공동 보조를 취하고, 여기에 두 국가의 리더십 아래 아세안 국가까지 연대할 경우 그 영향력은 더욱 커질 수 있어




정부는 적극적인 의견 개진을 통해 우리 입장이 더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과 최상목 권한대행 간의 통화, 외교ㆍ산업통상 등 관련 부처 장관의 방미, 트럼프 정부 주요 인사의 조기 방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백지 상태에서 시작한다는 마음의 완전히 새로운 전략적 사고가 필요한 시점





트럼프는 “한ㆍ일이 자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에 열린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한 적이 있기에, 이런 의견을 현실로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역량에 달려 있어





트럼프가 한국과 조선 협력을 강조한 것은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 최우선이기 때문이고, 중국을 빼고 글로벌 공급망을 다시 짜려면 한국 제조업 역량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예상치 못한 기회가 열릴 수 있기에, 모두 우리 하기 나름



※ 사회복지의 직접적 개입 기능에는, 복지 대상자인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상황을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있는데, 본 [육하원칙, 해석, 그리고 정보복지]는 대한민국의 국민 분들을 클라이언트로 간주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회복지를 직접적으로 실천합니다.

Copyright © 대한복지문화신문 2025

7가지 푸른 물결은 대한복지문화신문의 상징입니다

명칭ㆍ제호: 대한복지문화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52294
등록일: 2017.04.17
발행일: 2019.11.19
발행소: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 37
전화번호: 02-3473-5607
전자우편: desk@koreawftimes.co.kr
발행인: 박광순
편집인: 유명순
청소년보호책임자: 최유진

bottom of page